2차전지 시장은 이렇게 돌아간다. 2차전지 Supply Chain별 주요 회사 소개

2차전지 시장에는 원자재부터 완성차까지 견고한 서플라이체인으로 구성되었습니다.
본 포스팅을 통해서 원자재부터 완성차까지의 회사를 소개합니다.

【원자재】

1.리튬

① 앨버말 코퍼레이션 (Albemarle)
미국의 글로벌 특수 화학 기업으로, 주로 리튬, 브롬 및 촉매와 같은 특수 화학 제품을 생산합니다.
1994년에 설립된 이 회사는 특히 리튬 생산에서 세계적인 선도 업체로 자리 잡고 있으며, 리튬은 전기차 배터리, 에너지 저장 장치 등에서 중요한 원료로 사용됩니다.

② SQM(Sociedad Quimicay Minera de Chile)
칠레에 본사를 둔 글로벌 화학 및 광산 기업입니다. 이 회사는 리튬, 요오드, 칼륨, 산업 화학 제품 및 특수 비료를 생산하는 세계 선도 기업 중 하나입니다.
SQM은 특히 리튬 시장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으며, 리튬은 전기차 배터리와 같은 재생 에너지 분야에서 중요한 원료로 사용됩니다.

③ Tianqi Lithuim
중국의 주요 리튬 생산업체로, 전 세계 리튬 산업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이 회사는 리튬 자원의 개발, 채굴, 가공, 판매를 주된 사업으로 삼고 있으며, 특히 전기차 배터리와 같은 에너지 저장 장치에 사용되는 리튬 화합물 생산에 주력하고 있습니다.

④ Arcadium lithium
리튬 배터리 및 관련 에너지 저장 기술에 집중하는 기업으로, 주로 재생 에너지 및 전기차(EV) 산업을 지원하는 배터리 솔루션을 제공합니다.
리튬 이온 배터리는 높은 에너지 밀도와 효율성 덕분에 전기차, 스마트 기기, 재생 에너지 저장 등에 널리 사용되며, Arcadium Lithium은 이러한 시장의 수요에 맞춰 혁신적인 배터리 기술 개발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⑤ Pilbara Minerals
호주에 본사를 둔 리튬 생산 회사로, 세계적으로 중요한 리튬 공급 업체 중 하나입니다.
이 회사는 주로 호주의 서부 지역인 필바라(Pilbara) 지역에서 운영되며, 리튬과 같은 중요한 배터리 금속을 채굴하고 있습니다.
필바라 미네랄스의 주요 프로젝트인 필강구라(Pilgangoora) 리튬-탄탈륨 프로젝트는 세계 최대의 리튬 광산 중 하나로 꼽힙니다.

⑥ Ganfeng Lithium
중국에 본사를 둔 글로벌 리튬 생산 기업으로, 세계에서 가장 큰 리튬 화학물질 공급업체 중 하나입니다.
2000년에 설립된 이 회사는 리튬 관련 제품의 탐사, 채굴, 가공 및 재활용을 다루며, 배터리 제조 및 에너지 저장 솔루션을 제공합니다.

2.코발트

① Glencore
스위스에 본사를 둔 다국적 광물 및 원자재 기업으로, 세계 최대의 원자재 트레이딩 기업 중 하나입니다.
1974년에 설립된 이 회사는 광물, 금속, 에너지, 농산물 등의 거래와 생산에 집중하고 있습니다.
글렌코어는 광산 개발, 석탄과 석유의 생산, 금속 정제, 그리고 물류 서비스를 제공하며, 광범위한 원자재 공급망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3. 니켈

① South32
호주 기반의 글로벌 자원 회사로, 주로 광업과 금속 생산에 중점을 두고 있습니다.
2015년에 세계적인 광산업체인 BHP에서 분사되어 독립적인 기업이 되었으며, 현재 다양한 금속과 광물 자원을 생산하는 주요 기업 중 하나로 성장했습니다.
South32는 알루미늄, 석탄, 망간, 니켈, 은, 아연 등 다양한 광물 자원을 채굴하고 생산하며, 주요 사업 지역은 호주, 남아프리카 공화국, 콜롬비아 및 남미 등 여러 국가에 걸쳐 있습니다.
이 회사는 지속 가능한 자원 개발과 환경 보호에도 많은 관심을 기울이고 있으며, 사업 운영에서 사회적 책임을 다하려고 노력하고 있습니다.
South32의 주요 광산 프로젝트로는 호주의 보크사이트 및 알루미나 광산, 남아프리카의 망간 광산, 콜롬비아의 석탄 광산 등이 있습니다.

② Eramet
프랑스에 본사를 둔 글로벌 광산 및 금속 그룹으로, 주요 사업은 광물 자원 채굴과 금속 생산에 중점을 둡니다.
이 회사는 특히 니켈, 망간, 리튬, 코발트와 같은 필수 금속 자원에 집중하며, 다양한 산업에 필수적인 재료를 공급합니다.
에라마트는 철강, 배터리, 항공우주 산업 등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에라마트는 지속 가능한 개발과 환경 보호에 대한 강한 책임감을 가지고 있으며, 효율적인 자원 관리와 재활용 기술을 발전시키기 위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습니다.
이 회사는 전 세계적으로 여러 광산을 운영하고 있으며, 프랑스의 상장 기업으로도 알려져 있습니다.

③ Norilsk Nickel
세계 최대의 니켈과 팔라듐 생산 기업 중 하나로, 러시아에 본사를 두고 있습니다.
이 회사는 주로 러시아의 시베리아 북부 지역인 노릴스크에서 광산과 제련소를 운영하며, 전 세계적인 비철금속 시장에서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노릴스크 니켈의 주요 생산품은 니켈, 팔라듐, 플래티넘, 구리 등이며, 특히 니켈과 팔라듐의 생산량에서 세계 1위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이 기업은 자동차 배기가스 정화장치, 배터리 제조 등 다양한 산업에서 필수적인 금속들을 공급하고 있어 글로벌 경제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노릴스크 니켈은 막대한 환경적 영향으로 인해 비판을 받기도 합니다.
특히 시베리아 지역에서의 대규모 오염 문제는 국제적인 관심을 불러일으킨 바 있습니다.
2020년에는 대규모 기름 유출 사고로 인해 상당한 환경 피해를 발생시켰고, 이에 대한 대응과 재생 노력도 주목을 받고 있습니다.




【제련】

1.리튬 제련

① 앨버말 코퍼레이션 (Albemarle)
미국의 글로벌 특수 화학 기업으로, 주로 리튬, 브롬 및 촉매와 같은 특수 화학 제품을 생산합니다.
1994년에 설립된 이 회사는 특히 리튬 생산에서 세계적인 선도 업체로 자리 잡고 있으며, 리튬은 전기차 배터리, 에너지 저장 장치 등에서 중요한 원료로 사용됩니다.

② SQM(Sociedad Quimicay Minera de Chile)
칠레에 본사를 둔 글로벌 화학 및 광산 기업입니다. 이 회사는 리튬, 요오드, 칼륨, 산업 화학 제품 및 특수 비료를 생산하는 세계 선도 기업 중 하나입니다.
SQM은 특히 리튬 시장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으며, 리튬은 전기차 배터리와 같은 재생 에너지 분야에서 중요한 원료로 사용됩니다.

③ Tianqi Lithuim
중국의 주요 리튬 생산업체로, 전 세계 리튬 산업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이 회사는 리튬 자원의 개발, 채굴, 가공, 판매를 주된 사업으로 삼고 있으며, 특히 전기차 배터리와 같은 에너지 저장 장치에 사용되는 리튬 화합물 생산에 주력하고 있습니다.

④ Arcadium lithium
리튬 배터리 및 관련 에너지 저장 기술에 집중하는 기업으로, 주로 재생 에너지 및 전기차(EV) 산업을 지원하는 배터리 솔루션을 제공합니다.
리튬 이온 배터리는 높은 에너지 밀도와 효율성 덕분에 전기차, 스마트 기기, 재생 에너지 저장 등에 널리 사용되며, Arcadium Lithium은 이러한 시장의 수요에 맞춰 혁신적인 배터리 기술 개발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⑤ Pilbara Minerals
호주에 본사를 둔 리튬 생산 회사로, 세계적으로 중요한 리튬 공급 업체 중 하나입니다.
이 회사는 주로 호주의 서부 지역인 필바라(Pilbara) 지역에서 운영되며, 리튬과 같은 중요한 배터리 금속을 채굴하고 있습니다.
필바라 미네랄스의 주요 프로젝트인 필강구라(Pilgangoora) 리튬-탄탈륨 프로젝트는 세계 최대의 리튬 광산 중 하나로 꼽힙니다.

⑥ Ganfeng Lithium
중국에 본사를 둔 글로벌 리튬 생산 기업으로, 세계에서 가장 큰 리튬 화학물질 공급업체 중 하나입니다.
2000년에 설립된 이 회사는 리튬 관련 제품의 탐사, 채굴, 가공 및 재활용을 다루며, 배터리 제조 및 에너지 저장 솔루션을 제공합니다.

⑥ Posco Lithum Solution
한국의 대표적인 철강 기업인 포스코(POSCO) 그룹의 자회사로, 리튬을 비롯한 2차 전지 소재 사업에 중점을 두고 있는 회사입니다.
포스코는 글로벌 시장에서 철강뿐만 아니라 배터리 원료 사업에서도 점차 영향력을 확대하고 있으며, 포스코 리튬 솔루션은 이 전략의 핵심적인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POSCO Lithium Solution은 전기차 및 에너지 저장 시스템(ESS)용 배터리의 핵심 원료인 리튬을 생산하고 공급하는 사업을 수행하고 있습니다.
리튬은 전기차 배터리의 주요 성분으로, 향후 전기차 시장의 급격한 성장에 따라 수요가 증가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포스코는 아르헨티나의 소금호수에서 리튬을 추출하는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있으며, 그 외에도 다양한 글로벌 리튬 자원 확보 및 리튬 가공 기술 개발에 힘쓰고 있습니다.
이를 통해 POSCO Lithium Solution은 리튬 사업에서 글로벌 경쟁력을 강화하고 있으며, 친환경적이고 지속 가능한 소재 공급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2.코발트 제련

① Glencore
스위스에 본사를 둔 다국적 광물 및 원자재 기업으로, 세계 최대의 원자재 트레이딩 기업 중 하나입니다.
1974년에 설립된 이 회사는 광물, 금속, 에너지, 농산물 등의 거래와 생산에 집중하고 있습니다.
글렌코어는 광산 개발, 석탄과 석유의 생산, 금속 정제, 그리고 물류 서비스를 제공하며, 광범위한 원자재 공급망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② Huayou Cobalt
중국에 본사를 둔 세계적인 코발트 생산 및 가공 기업입니다.
2002년에 설립된 이 회사는 주로 코발트와 리튬, 니켈 등의 배터리 핵심 원료를 생산하는데 주력하고 있으며, 특히 전기차 배터리 및 전자제품에 사용되는 코발트의 주요 공급 업체로 알려져 있습니다.
화유 코발트는 채굴부터 정제 및 가공에 이르기까지 전 과정을 관리하며, 아프리카 콩고민주공화국(DRC)에서 광산을 운영해 코발트 자원을 확보하고 있습니다.
이 외에도 전기차 배터리 공급망의 일환으로 다양한 글로벌 기업들과 협력하고 있으며, 지속 가능성 및 환경 보호 문제에도 관심을 기울이고 있습니다.
이 회사는 특히 급성장하는 전기차 산업의 확대로 인해 빠르게 성장하고 있으며, 세계 코발트 시장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③ Umicore
벨기에에 본사를 둔 글로벌 소재 기술 및 재활용 기업입니다.
1805년에 설립된 이 회사는 다양한 첨단 기술 및 친환경 솔루션을 제공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Umicore는 주로 다음 세 가지 핵심 사업 부문에 집중합니다.
Umicore는 전기차, 재생 에너지, 귀금속 재활용 등 환경 지속 가능성에 중점을 둔 기술을 발전시키며, 특히 전기차 배터리와 관련된 소재 연구와 재활용 분야에서 큰 성과를 내고 있습니다.

④ Jervois
호주에 본사를 두고 있는 국제적인 금속 및 광산 회사로, 주로 코발트와 니켈 같은 중요한 배터리 금속을 생산하는 데 중점을 둡니다.
특히 코발트는 전기차 배터리와 같은 고성능 배터리의 핵심 재료로 사용되며, 이는 Jervois의 중요한 비즈니스 요소입니다.
이 기업은 코발트, 니켈, 구리와 같은 금속의 탐사, 개발 및 생산을 목표로 하고 있으며, 전 세계적으로 여러 프로젝트를 운영하고 있습니다.
Jervois는 광산뿐만 아니라 제련 및 정제 사업에도 관여하고 있으며, 특히 전기차, 에너지 저장 시스템 및 기타 첨단 기술 산업에 중요한 배터리 금속 공급을 책임지고 있습니다.
최근에는 미국, 호주 및 아프리카에서 주요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있으며, 에너지 전환 및 지속 가능한 미래를 위한 핵심 자원을 공급하는 데 기여하고 있습니다.

3.니켈 제련

① Norilsk Nickel
세계 최대의 니켈과 팔라듐 생산 기업 중 하나로, 러시아에 본사를 두고 있습니다.
이 회사는 주로 러시아의 시베리아 북부 지역인 노릴스크에서 광산과 제련소를 운영하며, 전 세계적인 비철금속 시장에서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노릴스크 니켈의 주요 생산품은 니켈, 팔라듐, 플래티넘, 구리 등이며, 특히 니켈과 팔라듐의 생산량에서 세계 1위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이 기업은 자동차 배기가스 정화장치, 배터리 제조 등 다양한 산업에서 필수적인 금속들을 공급하고 있어 글로벌 경제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노릴스크 니켈은 막대한 환경적 영향으로 인해 비판을 받기도 합니다.
특히 시베리아 지역에서의 대규모 오염 문제는 국제적인 관심을 불러일으킨 바 있습니다.
2020년에는 대규모 기름 유출 사고로 인해 상당한 환경 피해를 발생시켰고, 이에 대한 대응과 재생 노력도 주목을 받고 있습니다.

② Tsingshan(칭산)
중국에 본사를 둔 세계 최대의 스테인리스강 제조업체 중 하나로, 1998년에 설립되었습니다.
주로 스테인리스강, 니켈, 크롬 등의 금속 자원을 채굴, 정제, 가공하는 데 주력하고 있으며, 인도네시아, 짐바브웨 등 해외 여러 국가에 대규모 광산 및 제련 공장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특히 Tsingshan은 저비용 고효율 생산 방식을 통해 글로벌 니켈 및 스테인리스강 시장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으며, 전기차 배터리 제조에 필수적인 니켈 자원 공급에서도 큰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습니다.
이는 글로벌 니켈 가격에도 상당한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이로 인해 최근 몇 년간 국제 원자재 시장에서 중요한 기업으로 떠오르고 있습니다.

③ Jinchuan(진천)
중국의 대형 금속 및 광산 기업으로, 주로 니켈, 구리, 코발트, 백금, 금 등의 유색 금속 자원을 개발하고 생산하는 회사입니다.
본사는 중국 간쑤성(金昌市)에 위치하고 있으며, 1958년에 설립되었습니다.
진천 그룹은 중국에서 가장 큰 니켈과 코발트 생산 업체 중 하나이며, 세계적으로도 주요한 금속 생산 기업 중 하나로 인정받고 있습니다.

④ sumitomo metal mining
일본을 대표하는 비철금속 및 광산 회사 중 하나로, 1590년에 설립된 유서 깊은 기업입니다.
Sumitomo 그룹의 일원이기도 하며, 주로 구리, 니켈, 금, 은 등 다양한 금속의 채굴, 제련, 가공을 담당합니다.
특히, 니켈과 구리 생산에서는 세계적으로도 높은 평가를 받고 있습니다.
이 기업은 원재료 채굴부터 제련, 가공까지 포괄적으로 수행하며, 또한 전자재료 분야에도 진출해 반도체 재료, 리튬이온 배터리 소재 등 다양한 고부가가치 제품을 생산하고 있습니다.
Sumitomo Metal Mining은 친환경적이고 지속 가능한 광산 운영을 추구하며, ESG 경영에도 집중하고 있습니다.
최근에는 전기차 배터리용 핵심 금속인 니켈과 코발트의 생산량을 확대하고, 탄소 중립을 위한 노력을 강화하는 등 미래 기술 산업에 대한 기여를 늘리고 있습니다.

⑤ 고려아연
한국의 대표적인 비철금속 제련업체로, 1974년에 설립되었습니다.
이 기업은 주로 아연, 납, 금, 은과 같은 비철금속을 생산하며, 세계 최대 규모의 아연 제련 회사 중 하나로 알려져 있습니다.
주요 생산품인 아연은 철강 산업, 건설 산업, 전기 및 전자 제품에 사용되며, 고려아연은 이를 정제 및 가공하는 능력에서 글로벌 시장에서 선두적인 위치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고려아연은 환경 보호와 지속 가능성에도 주력하고 있으며, 제련 과정에서 발생하는 부산물을 재활용하고 환경오염을 최소화하려는 노력을 기울이고 있습니다.
글로벌 시장에서 경쟁력을 유지하면서도 친환경 경영을 추구하는 점이 기업의 주요 특징 중 하나입니다.

【핵심 소재】

1.양극재

① LG화학
전지 소재 분야에서 핵심적인 역할을 하는 양극재 사업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양극재는 전기차 및 에너지 저장 시스템(ESS) 등에서 사용되는 배터리의 성능과 안전성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소재입니다.
LG화학은 이 시장에서 고에너지밀도 및 고출력 특성을 갖춘 니켈·코발트·망간(NCM) 계열의 양극재를 주로 생산하며, 하이니켈 기술을 통해 전기차의 주행거리를 극대화하는 데 기여하고 있습니다.
LG화학은 전 세계 배터리 시장의 성장과 함께 양극재 생산 능력을 지속적으로 확대하고 있으며, 글로벌 배터리 제조업체들과의 협력도 강화하고 있습니다.
특히 안정적인 원재료 공급망 확보와 기술 혁신을 통해 시장 내 경쟁력을 높이고, 배터리 성능 개선을 목표로 한 연구개발도 적극적으로 진행 중입니다.

② 에코프로비앰
전기차 배터리에 사용되는 양극재를 생산하는 글로벌 리더 중 하나로, 특히 고성능 니켈 기반 양극재 시장에서 두각을 나타내고 있습니다.
양극재는 리튬 이온 배터리의 4대 주요 소재 중 하나로, 배터리의 성능, 수명, 안전성에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에코프로비엠은 특히 하이니켈(NCM, NCA) 양극재를 중점적으로 생산하며, 전기차 배터리 및 에너지 저장 시스템(ESS)용으로 공급합니다.
이 회사는 지속적으로 생산 능력을 확장하고 있으며, 주요 고객으로는 삼성SDI, SK이노베이션 등의 글로벌 배터리 제조사들이 있습니다.
또한, 친환경 공정과 기술 혁신을 통해 경쟁력을 강화하고 있으며, 글로벌 전기차 시장의 성장과 함께 꾸준히 성장하는 기업으로 평가받고 있습니다.

③ 엘엔에프
2차 전지 소재를 제조하는 한국의 주요 기업으로, 특히 양극재 사업이 핵심 분야 중 하나입니다.
양극재는 리튬이온 배터리의 4대 주요 소재 중 하나로, 배터리의 용량, 출력 및 안정성에 큰 영향을 미칩니다.
L&F는 니켈, 코발트, 망간(NCM) 및 니켈, 코발트, 알루미늄(NCA) 계열의 양극재를 생산하며, 이 소재들은 주로 전기차 배터리와 에너지 저장 시스템(ESS)에 사용됩니다.
L&F는 양극재 생산에 있어서 고용량, 고출력, 장수명 특성을 갖춘 제품을 개발하고 있으며, 특히 전기차 시장의 성장에 발맞춰 글로벌 배터리 제조사들과 협력하고 있습니다.
이를 통해 LG에너지솔루션, 삼성SDI, SK온 등과 같은 주요 고객사에 공급을 확대하고 있으며, 전 세계적인 전기차 배터리 시장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④ 포스코케미칼
포스코 그룹의 계열사로, 이차전지 소재인 양극재와 음극재 사업을 주요 축으로 운영하고 있습니다.
특히, 양극재 사업은 전기차(EV) 배터리의 핵심 소재를 공급하는 역할을 담당하며, 글로벌 전기차 시장의 성장에 따라 빠르게 확장되고 있습니다.
양극재는 이차전지의 성능과 안정성, 수명을 좌우하는 핵심 소재 중 하나로, 리튬, 니켈, 코발트, 망간 등의 금속이 포함된 복합 재료입니다.
포스코케미칼은 특히 고용량, 고성능 배터리에 적합한 니켈 함량이 높은 하이니켈 양극재에 주력하고 있으며, 전 세계 주요 배터리 제조사와 협력 관계를 구축하고 있습니다.
또한, 포스코 그룹이 보유한 리튬과 니켈 등의 원자재 공급망과의 시너지를 활용해 안정적인 원료 수급과 경쟁력 있는 생산 체계를 구축하고 있습니다.
양극재 생산 능력을 지속적으로 확장하면서, 글로벌 전기차 및 에너지 저장 장치(ESS) 시장의 수요를 충족시키기 위한 투자도 이어가고 있습니다.
이러한 사업 전략을 통해 포스코케미칼은 배터리 소재 시장에서 중요한 글로벌 플레이어로 자리 잡고 있으며, 앞으로도 전기차와 친환경 에너지 산업의 성장에 발맞춰 사업을 확장해 나갈 계획입니다.

⑤ UMICORE
벨기에에 본사를 두고 있는 글로벌 소재 기술 기업으로, 주로 지속 가능한 재료 및 기술 개발에 중점을 두고 있습니다.
Umicore의 양극재 사업은 전기차(EV) 배터리와 에너지 저장 시스템에 필요한 양극재를 생산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양극재는 리튬이온 배터리의 핵심 구성 요소로, 배터리의 성능, 안정성, 수명에 큰 영향을 미칩니다.
Umicore는 높은 에너지 밀도와 우수한 안전성을 갖춘 양극재를 개발해 시장에서 경쟁력을 갖추고 있으며, 특히 전기차 시장이 빠르게 성장하면서 Umicore의 양극재 사업도 급성장하고 있습니다.
Umicore는 니켈, 코발트, 망간(NCM)과 니켈, 코발트, 알루미늄(NCA) 기반의 양극재를 생산하며, 이들은 모두 고성능 배터리에 사용됩니다.
또한, Umicore는 양극재의 친환경적인 생산과 지속 가능한 자원 관리에 중점을 두고 있으며, 리사이클링을 통해 원재료를 재활용하는 순환 경제 모델을 구축하고 있습니다.
이를 통해 Umicore는 전기차 시장뿐만 아니라 재생 가능 에너지와 같은 다양한 분야에서 중요한 파트너로 자리 잡고 있습니다.

⑥ NICHIA(니치아)
일본에 본사를 둔 전자 부품 및 화학 제품 제조사로, 특히 LED 기술로 잘 알려져 있습니다.
최근 NICHIA는 2차 전지(리튬이온 배터리)용 양극재 사업에도 진출하고 있습니다.
양극재는 리튬이온 배터리의 4대 주요 소재 중 하나로, 배터리의 용량과 수명에 큰 영향을 미칩니다.
NICHIA는 그간 축적된 화학 기술력을 바탕으로 고성능 양극재 개발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특히 고에너지 밀도를 가진 배터리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한 양극재 개발에 집중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전기차와 에너지 저장 시스템(ESS) 시장에서의 수요를 겨냥하고 있습니다.
NICHIA는 이러한 양극재 사업을 통해 배터리 시장에서 입지를 넓히려는 전략을 가지고 있으며, 향후 지속 가능한 에너지 솔루션 개발에 기여하고자 합니다.

⑦ 샤오신넝(XTC)
중국에 본사를 둔 전력 장비 및 신재생 에너지 기업으로, 최근 양극재 사업에 진출하며 주목받고 있습니다.
양극재는 리튬 이온 배터리의 주요 구성 요소 중 하나로, 전기차, 에너지 저장 장치 등에서 핵심적인 역할을 합니다.
샤우신넝의 양극재 사업은 주로 리튬이온 배터리용 양극재 개발 및 생산을 목표로 하며, 전기차 및 에너지 저장 산업의 급성장에 따라 이 분야에서 경쟁력을 확보하고 있습니다.
특히, 이 회사는 양극재의 성능 개선 및 대량 생산 기술에 집중하며, 글로벌 배터리 및 전기차 제조업체와의 협력을 통해 시장 확장을 꾀하고 있습니다.
샤우신넝은 친환경적이고 고효율적인 배터리 소재를 개발함으로써, 미래의 에너지 산업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려는 전략을 가지고 있습니다.

2.음극재

① 포스코케미칼
포스코 그룹의 계열사로, 주로 2차 전지 소재, 특히 음극재와 양극재 사업에서 활발히 활동하고 있습니다.
음극재는 전기차, 스마트폰 등 다양한 전자 기기에 사용되는 리튬 이온 배터리의 핵심 구성 요소 중 하나로, 배터리 성능과 수명에 큰 영향을 미칩니다.
포스코케미칼의 음극재 사업은 인조흑연과 천연흑연 음극재를 주력으로 하고 있으며, 특히 전기차 배터리 시장의 급성장에 맞춰 사업을 확장하고 있습니다.
포스코케미칼은 안정적인 원료 확보와 생산 능력 확대를 통해 시장에서의 경쟁력을 강화하고 있으며, 글로벌 시장에서 주요 배터리 제조사들과의 협력을 바탕으로 음극재 수요에 대응하고 있습니다.
또한, 포스코케미칼은 자체 기술 개발과 연구를 통해 음극재의 품질과 성능을 개선하고, 차세대 전지 소재 개발에도 힘쓰고 있습니다.
이를 통해 친환경적인 전지 소재 공급망을 구축하고, 전기차와 에너지 저장장치(ESS) 시장에서의 입지를 더욱 강화하고 있습니다.

② KAIJIN(카이진)
배터리 음극재 분야에서 주목받고 있는 주요 기업 중 하나로, 글로벌 음극재 시장에서 약 9%의 점유율을 기록하고 있습니다.
카이진은 주로 흑연 기반 음극재를 생산하며, 전기차 및 에너지 저장 시스템의 급성장에 발맞춰 생산능력을 지속적으로 확대하고 있습니다.
흑연 음극재는 안정적인 성능 덕분에 현재 배터리 산업에서 주로 사용되고 있으며, 카이진은 이 시장에서 중국 및 다른 경쟁사들과 경쟁하고 있습니다.
음극재는 배터리의 에너지 밀도와 수명을 결정하는 핵심 소재로, 현재 흑연 음극재가 주류를 이루고 있지만 실리콘 음극재와 같은 차세대 소재가 개발되고 있습니다.
카이진 또한 이러한 신소재의 연구와 개발을 지속하며, 시장 경쟁력을 강화하고 있습니다.
실리콘 음극재는 흑연보다 에너지 밀도가 훨씬 높지만 안정성 문제로 인해 아직 상용화 단계에서 기술적 개선이 필요한 상태입니다.
카이진의 성공적인 음극재 사업 확장은 향후 전기차 시장의 성장과 더불어 지속적인 성장이 예상되며, 중국 업체들이 점유율을 크게 차지하고 있는 시장에서 꾸준한 성과를 내고 있습니다​

③ BTR(Battery Technology Resources)
주로 배터리 소재를 개발하고 생산하는 기업으로, 특히 음극재(anode material) 사업에 주목받고 있습니다.
음극재는 리튬이온 배터리의 핵심 구성 요소 중 하나로, 배터리의 용량, 충전 속도, 수명 등에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BTR은 특히 음극재 중에서도 인조 흑연과 천연 흑연을 기반으로 한 제품을 주로 생산하고 있습니다.
BTR은 고성능 리튬이온 배터리를 위해 고품질의 음극재를 개발하며, 배터리 시장에서 신뢰받는 공급업체로 자리매김하고 있습니다.
이 기업은 전기차(EV), 에너지 저장 시스템(ESS), 소비자 전자기기 등 다양한 산업에 음극재를 공급하고 있으며, 특히 전기차 배터리 수요가 급증하면서 BTR의 음극재 사업도 빠르게 성장하고 있습니다.

④ MITSUBISHI CHEMICAL
일본의 종합 화학 기업으로, 다양한 화학 제품과 소재를 생산하고 있습니다.
이 중 음극재 사업은 특히 전기차(EV), 휴대용 전자기기, 에너지 저장 시스템 등에서 사용되는 리튬이온 배터리의 핵심 소재를 제공하는 중요한 분야입니다.
미쓰비시 케미컬은 리튬이온 배터리의 음극재로 주로 흑연 기반의 소재를 개발하고 있으며, 이 소재는 배터리의 성능과 안정성을 크게 좌우합니다.
음극재는 배터리 충전 시 리튬 이온이 저장되는 역할을 하는데, 미쓰비시 케미컬은 높은 에너지 밀도와 긴 수명을 가진 음극재를 개발함으로써 전기차 및 에너지 저장 기술의 발전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미쓰비시 케미컬은 음극재 외에도 배터리 관련 다양한 소재들을 개발 및 공급하고 있어, 글로벌 전기차 및 배터리 시장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는 기업 중 하나입니다.

⑤ HITACHI(히타치)
HITACHI(히타치)의 음극재 사업은 에너지 솔루션 및 소재 분야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히타치는 주로 리튬 이온 배터리의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한 음극재를 개발 및 생산합니다.
음극재는 배터리에서 전자를 저장하고 방출하는 중요한 부품으로, 특히 전기차(EV) 및 에너지 저장 장치(ESS) 시장의 성장에 따라 수요가 증가하고 있습니다.
히타치는 탄소소재를 활용한 음극재 개발에 주력하고 있으며, 이와 함께 첨단 기술을 바탕으로 높은 에너지 밀도, 안정성, 수명 연장을 목표로 하는 제품을 시장에 공급하고 있습니다.
이를 통해 전기차 배터리 성능 개선 및 차세대 에너지 솔루션 시장에서 경쟁력을 확보하려는 전략을 펼치고 있습니다.

3.분리막

① SK아이이테크놀로지(SK IET)
SK아이이테크놀로지(SK IET)는 SK이노베이션의 자회사로, 주로 전기차 배터리용 분리막(LiBS, Lithium-ion Battery Separator)을 제조하는 기업입니다.
분리막은 리튬이온 배터리의 핵심 소재 중 하나로, 양극과 음극 사이에서 전자 이동을 방지하고, 이온의 이동만을 허용하는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분리막의 성능은 배터리의 안전성, 수명, 성능 등에 직결되기 때문에 매우 중요한 소재로 간주됩니다.
SK아이이테크놀로지는 고성능 분리막을 통해 전기차 배터리 시장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으며, 전 세계적으로 빠르게 성장하는 전기차 산업과 더불어 분리막 수요도 꾸준히 증가하고 있습니다.
특히, SK IET는 우수한 기술력과 생산 능력을 바탕으로 고출력, 고안전성의 분리막을 제공하고 있어 글로벌 시장에서 점유율을 넓혀가고 있습니다.
이 회사는 향후 더 많은 전기차 배터리 수요와 함께 분리막 사업을 지속적으로 확대할 계획입니다.

② ASAHI KASEI(아사히 카세이)
아사히카세이(Asahi Kasei)는 일본의 대표적인 화학 및 소재 기업으로,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혁신적인 제품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그중 분리막(Separator) 사업은 회사의 중요한 핵심 사업 중 하나입니다.
분리막은 주로 리튬이온 배터리(Li-ion Battery) 내에서 사용되며, 양극과 음극을 물리적으로 분리하는 동시에 전해질이 이온을 통과시킬 수 있도록 하는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아사히카세이의 분리막 사업은 특히 전기차(EV), 에너지 저장 시스템(ESS), 휴대용 전자기기 등에 쓰이는 리튬이온 배터리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이 회사는 폴리올레핀(polyolefin) 기반의 분리막을 주로 생산하며, 고품질의 안정성 및 성능 향상을 위해 다양한 코팅 기술을 접목하여 분리막의 내열성 및 안전성을 극대화하고 있습니다.
최근 전 세계적인 전기차 시장의 성장과 함께 아사히카세이의 분리막 사업 역시 확대되고 있으며, 주요 글로벌 배터리 제조사들로부터 수요가 꾸준히 증가하고 있습니다.
아사히카세이는 이 분야에서 기술적 리더십을 바탕으로 미래의 에너지 솔루션을 개발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③ SEMCORP
SEMCORP는 리튬이온 배터리 분리막을 주력으로 생산하는 중국의 대표적인 기업입니다.
분리막은 리튬이온 배터리의 핵심 구성 요소 중 하나로, 양극과 음극을 분리하여 전기적 단락을 방지하는 역할을 합니다.
SEMCORP는 특히 고성능 분리막을 제조하는 기술력을 바탕으로 글로벌 시장에서 경쟁력을 키워가고 있습니다.
이 회사는 주로 전기차 및 에너지 저장 시스템(ESS)에서 사용되는 배터리에 들어가는 분리막을 생산하며, 분리막의 품질 및 안전성 향상에 중점을 두고 있습니다.
또한 SEMCORP는 중국 내뿐만 아니라 글로벌 시장으로도 사업을 확장하고 있으며, 주요 전기차 제조사들과 협력해 공급망을 강화하고 있습니다.
분리막 기술의 발전을 통해 더 높은 에너지 밀도와 안전성을 제공하는 배터리를 실현하는 것이 SEMCORP의 주요 목표 중 하나입니다.

④ SENIOR(시니어)
SENIOR 기업의 분리막 사업은 주로 전기차 배터리 및 에너지 저장 장치(ESS) 등에서 사용되는 리튬이온 배터리의 핵심 부품인 분리막을 생산하는 사업입니다.
분리막은 배터리 내부에서 양극과 음극을 물리적으로 분리하는 동시에 이온은 통과시켜 전기 화학적 반응을 촉진하는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고성능, 안정성, 내구성을 요구하는 배터리 시장에서 분리막은 필수적인 소재로, SENIOR 기업은 이 분야에서 기술력을 바탕으로 글로벌 시장에 경쟁력을 갖춘 제품을 공급하고 있습니다.
분리막의 품질은 배터리 성능과 안전성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SENIOR 기업은 품질 관리를 강화하고 있으며, 연구개발을 통해 고성능 분리막 개발에 힘쓰고 있습니다.
이를 통해 전기차 및 에너지 저장 장치의 수요 증가에 맞춰 시장에서 입지를 확대하고 있습니다.

⑤ TORAY(도레이)
TORAY(토레이)는 일본의 화학 제조 기업으로, 분리막 사업은 토레이의 중요한 사업 중 하나입니다.
분리막은 리튬 이온 배터리(Li-ion 배터리)에서 양극과 음극을 물리적으로 분리하면서 이온의 이동을 허용하는 얇은 필름입니다.
분리막은 배터리 성능 및 안전성에 큰 영향을 미치며, 전기차와 에너지 저장 장치에서 필수적인 부품으로 사용됩니다.
토레이는 고성능의 리튬 이온 배터리용 분리막을 제조하는 선두 기업 중 하나로, 특히 자체 개발한 고분자 소재와 첨단 제조 기술을 활용하여 우수한 내열성, 고강도, 그리고 높은 안정성을 자랑하는 제품을 생산합니다.
이 기술력 덕분에 토레이는 전기차 및 에너지 저장 시장의 확대로 인해 분리막 수요가 급증하는 상황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분리막 사업은 토레이의 지속적인 연구 개발 투자와 함께 성장을 이어가고 있으며, 글로벌 배터리 제조업체들과의 협력을 통해 시장 점유율을 확대하고 있습니다.

⑥ 더블유씨피
더블유씨피(WCP, W-SCOPE CHUNGJU PLANT)는 주로 전기차 배터리에 사용되는 분리막을 제조하는 기업입니다.
분리막은 리튬이온 배터리의 핵심 부품 중 하나로, 양극과 음극 사이에서 물리적으로 전기를 차단하고 이온의 이동만 허용하는 역할을 합니다.
이는 배터리의 안정성을 높이고, 성능을 유지하는 데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WCP는 고성능 리튬이온 배터리 분리막을 개발하여 전기차, 에너지 저장 장치(ESS), 휴대용 기기 등에 공급하고 있으며, 특히 전기차 시장의 확대로 인해 수요가 빠르게 증가하고 있는 상황입니다.
최근에는 친환경 전기차 시장이 급속히 성장하면서 WCP의 분리막 사업도 함께 확대되고 있으며, 글로벌 배터리 제조사들과 협력을 강화하고 있습니다.

4.전해액

① ENCHEM(엔켐)
엔켐(ENCHEM)은 주로 2차 전지에 사용되는 전해액을 생산하는 기업으로, 전기차와 에너지 저장 시스템(ESS) 등에 필요한 전해액을 공급하는 데 주력하고 있습니다.
전해액은 배터리 내에서 리튬이온의 이동을 돕는 중요한 물질로, 배터리의 성능과 수명을 크게 좌우하는 핵심 부품 중 하나입니다.
엔켐은 고성능 전해액 기술 개발에 집중하며, 특히 고에너지 밀도를 요구하는 전기차용 배터리 및 다양한 첨단 산업 분야에서 요구하는 맞춤형 전해액을 공급하여 경쟁력을 확보하고 있습니다.
지속적으로 성장하고 있는 전기차 시장과 에너지 저장 산업의 확장에 힘입어, 엔켐은 글로벌 시장에서도 활발히 진출하며 성장을 도모하고 있습니다.

② MITSUBISHI CHEMICAL
Mitsubishi Chemical은 일본의 대표적인 화학 회사로, 전해액 사업은 이 회사의 핵심적인 사업 중 하나입니다.
전해액은 리튬 이온 배터리의 중요한 구성 요소로, 전기 자동차(EV), 에너지 저장 시스템(ESS), 전자 기기 등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됩니다.
Mitsubishi Chemical의 전해액 사업은 고성능 배터리의 수명과 안전성을 개선하는 데 중점을 두고 있으며, 특히 리튬 이온 전지의 전해액 기술 개발에서 앞서나가고 있습니다.
이 회사는 전 세계 배터리 제조업체와 협력하여 맞춤형 전해액 솔루션을 제공하고 있으며, 친환경 및 고효율 에너지 시스템 개발에도 기여하고 있습니다.
Mitsubishi Chemical은 지속 가능한 에너지 기술을 선도하고 있으며, 전해액을 통해 미래의 에너지 시장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고자 하는 목표를 가지고 있습니다.

③ TINCI(Tinci Materials Technology Co., Ltd.)
중국에 본사를 두고 있는 화학 소재 제조업체로, 특히 리튬 이온 배터리에 사용되는 전해액 분야에서 두각을 나타내고 있습니다.
TINCI의 전해액 사업은 전기차, 에너지 저장 시스템, 소비자 전자 제품에 사용되는 리튬 이온 배터리의 핵심 재료를 공급하는 것이 특징입니다.
이 회사는 고성능 전해액과 첨가제를 개발 및 생산하는 데 중점을 두고 있으며, 특히 에너지 밀도를 높이고 배터리 수명을 연장할 수 있는 기술을 통해 글로벌 시장에서 경쟁력을 확보하고 있습니다.
TINCI는 이 분야에서의 기술 혁신을 통해 급성장하는 전기차 배터리 시장의 수요를 충족시키고 있으며, 전 세계적으로 큰 시장 점유율을 확보하고 있는 주요 기업 중 하나로 평가받고 있습니다.

④ GTHR
전해액을 전문으로 생산하는 세계적인 기업으로, 특히 리튬이온 배터리 전해액 분야에서 강력한 입지를 가지고 있습니다.
이 회사는 전기차 배터리 및 에너지 저장 시스템용 전해액을 공급하며, 폴란드, 중국 등에서 대규모 생산 시설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GTHR은 전기차 배터리와 관련된 주요 전해액 제조업체 중 하나로, 연간 약 50만 대의 전기차 배터리에 전해액을 공급할 수 있는 생산 능력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셀, 팩】

① LG에너지솔루션
LG에너지솔루션(LG Energy Solution)은 LG그룹 계열사로, 세계적인 배터리 제조업체입니다.
LG화학의 배터리 사업부에서 분사되어 2020년 12월에 설립된 이 회사는 주로 전기차(EV) 배터리, 에너지 저장 시스템(ESS), IT 기기용 배터리 등을 생산하고 있습니다.
LG에너지솔루션은 고도화된 리튬 이온 배터리 기술을 바탕으로 시장을 선도하고 있으며, 탄소 중립 목표를 위한 재생 가능 에너지와 전기차 보급 확산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또한, 배터리 리사이클링 및 배터리 소재의 연구개발에도 적극적으로 투자하고 있습니다.

② SKon
SK온(SK On)은 SK이노베이션의 배터리 사업 부문이 분사하여 설립된 기업으로, 전기차(EV) 배터리 시장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SK온은 2021년 10월 독립 법인으로 출범하여, 리튬이온 배터리, 특히 전기차용 배터리를 중심으로 연구 개발 및 생산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이 기업은 고용량 배터리 기술과 안정성을 강조하며, 글로벌 전기차 제조사와의 협력 관계를 확장하고 있습니다.
주요 고객으로는 현대자동차, 포드, 폭스바겐 등 글로벌 자동차 제조사들이 있으며, 유럽과 북미 시장에 배터리 생산 공장을 설립하여 생산 역량을 강화하고 있습니다.
SK온의 핵심 경쟁력은 고밀도·고효율 배터리 기술, 그리고 글로벌 생산 및 공급망을 최적화하여 전기차 배터리 시장에서 경쟁력을 갖추는 데 주력하고 있다는 점입니다.

③ 삼성SDI
삼성SDI는 삼성그룹 계열사로, 주로 전기차, 에너지 저장 시스템(ESS), IT 기기 등에 사용되는 배터리를 생산하는 글로벌 기업입니다.
이 기업은 특히 리튬이온 배터리 기술을 기반으로 한 고성능 배터리를 개발하고 있으며, 최근 급성장하고 있는 전기차 배터리 시장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삼성SDI는 지속적인 연구개발을 통해 배터리 용량과 효율을 향상시키고 있으며, 친환경 기술에도 주력하여 미래 전기차 및 에너지 시장에서의 선두 자리를 유지하려고 노력하고 있습니다.

④ CATL
CATL(Contemporary Amperex Technology Co., Limited)은 중국에 본사를 둔 세계 최대의 전기차 배터리 제조업체 중 하나로, 2011년에 설립되었습니다.
이 회사는 리튬 이온 배터리 및 에너지 저장 솔루션을 전문으로 하며, 특히 전기차(EV) 배터리 시장에서 큰 영향력을 발휘하고 있습니다.
CATL은 전기차 배터리뿐만 아니라 에너지 저장 시스템(ESS) 및 소비자 전자 제품용 배터리도 생산합니다.
특히, 전기차 배터리 분야에서는 Tesla, BMW, Volkswagen, 현대자동차 등 글로벌 자동차 제조업체와 협력하고 있으며, 빠르게 성장하는 전기차 시장에서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습니다.
CATL의 주요 기술은 고에너지 밀도, 안전성, 효율성 등을 갖춘 리튬 이온 배터리로, 지속적인 연구 개발을 통해 성능을 개선하고 있으며, 최근에는 고체 배터리와 같은 차세대 기술에도 투자하고 있습니다.
이를 통해 CATL은 전 세계 배터리 시장에서 선도적인 위치를 유지하고 있습니다.

⑤ BYD
BYD(비야디, 比亚迪)는 중국의 대표적인 전기차 및 배터리 제조 기업으로, 배터리 사업에서 세계적인 경쟁력을 가지고 있습니다.
1995년에 배터리 제조로 시작한 BYD는 이제 전기차와 에너지 저장 장치에 사용되는 배터리 생산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⑥ Panasonic
파나소닉(Panasonic)은 글로벌 전자기기 제조업체로, 특히 배터리 사업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파나소닉의 배터리 사업은 주로 리튬이온 배터리와 전기차 배터리 부문에 집중되어 있으며, 다양한 전자제품과 전기차에 사용되는 배터리를 생산하고 있습니다.
파나소닉은 **테슬라(Tesla)**와의 협업으로 유명하며, 미국 네바다주의 **기가팩토리(Gigafactory)**에서 전기차 배터리를 공동 생산하고 있습니다.
이 협업은 파나소닉의 전기차 배터리 시장 점유율을 확대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습니다.
또한, 파나소닉은 에너지 저장 시스템에도 투자하고 있으며, 가정용 및 산업용 에너지 저장 솔루션을 제공하는 등 지속 가능한 에너지 사업에도 힘쓰고 있습니다.
파나소닉의 배터리 기술은 스마트폰, 노트북, 전동 공구 등 다양한 제품에도 사용되며, 혁신적인 에너지 솔루션을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최종재】

① Tesla
Tesla는 2003년에 설립된 미국의 전기차 제조업체로, 전기차(EV) 시장을 선도하는 글로벌 기업입니다.
테슬라는 혁신적인 전기차 기술과 자율주행 시스템을 통해 전 세계에서 높은 인기를 얻고 있습니다.
회사의 핵심 목표는 지속 가능한 에너지로의 전환을 촉진하는 것으로, 이를 위해 전기차, 에너지 저장 시스템, 태양광 패널 등을 개발하고 판매합니다.
테슬라는 다양한 모델의 전기차를 출시해왔으며, 대표적으로 Model S(세단), Model 3(중형 세단), Model X(SUV), Model Y(중형 SUV) 등이 있습니다.
테슬라의 전기차는 배터리 기술, 소프트웨어 업데이트를 통한 성능 향상, 자율주행 시스템(Autopilot 및 Full Self-Driving)을 특징으로 합니다.
또한 테슬라는 전기차의 주행 거리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대규모 배터리 생산 공장인 기가팩토리를 운영하며, 배터리 생산 비용 절감 및 공급망 확보를 통해 전기차의 대중화를 촉진하고 있습니다.

② GM
GM(General Motors)은 전기차(EV) 시장에서 선도적인 위치를 차지하기 위해 활발히 사업을 전개하고 있습니다
GM은 전기차와 관련된 기술 개발, 인프라 구축, 그리고 새로운 전기차 모델 출시를 통해 전동화 전략을 강화하고 있습니다.

③ 폭스바겐
폭스바겐은 전 세계적으로 자동차 제조업체 중 하나로, 최근 몇 년간 전기차 사업에 적극적으로 투자해 왔습니다.
특히 디젤게이트 스캔들 이후, 폭스바겐은 전기차로의 전환을 가속화하며 지속 가능한 미래를 위한 새로운 전략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④ Hyundai
현대자동차는 글로벌 자동차 시장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는 한국의 대표적인 자동차 제조업체로, 전기차(EV) 사업에 많은 투자를 하고 있습니다.
현대자동차는 미래 친환경 자동차 시장을 선도하기 위해 다양한 전기차 모델을 출시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지속 가능한 모빌리티 솔루션을 제공하고자 합니다.

⑤ HONDA
혼다(Honda)는 전통적으로 내연기관 차량으로 유명한 일본의 글로벌 자동차 제조업체입니다.
하지만 최근 전기차(EV) 사업에 집중하며 지속 가능한 모빌리티로의 전환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혼다는 2040년까지 모든 자동차 판매를 전기차 및 수소차로 전환하겠다는 목표를 설정하였습니다.

⑥ Ford
포드(Ford)는 전통적인 자동차 제조업체로서 최근 몇 년 동안 전기차(EV) 시장에 적극적으로 진출하고 있습니다.
포드는 전기차 개발과 생산을 확대하여 친환경 자동차 시장에서 입지를 강화하려는 전략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⑦ BYD
BYD(BYD Auto)는 중국을 대표하는 전기차 및 배터리 제조업체로, 세계에서 가장 큰 전기차 제조사 중 하나입니다.
BYD는 1995년에 배터리 생산을 시작했으며, 2003년에 자동차 산업에 진출하면서 전기차 분야에서 빠르게 성장했습니다.
이 회사는 전기차의 핵심 부품인 배터리 생산에서 강점을 가지고 있으며, 이를 바탕으로 전기차 시장에서 두각을 나타내고 있습니다.
BYD의 전기차 사업은 승용차, 버스, 트럭 등 다양한 분야를 아우릅니다.
승용차 부문에서는 “한(漢)”, “송(宋)”, “원(元)” 등 다양한 전기차 모델을 출시했으며, 특히 2020년대 들어 전 세계적으로 큰 성공을 거두고 있습니다.
또한, 상용차 부문에서는 전기 버스와 전기 트럭 생산에 집중하여, 여러 국가에 대규모 공급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Leave a Comment